1. 종목 분석

[종목분석] 스마트레이더시스템-4D 이미징 레이더 개발 기업

하얗게불태웠다 2025. 1. 30. 02:38
반응형

 

스마트레이더시스템 (4D 이미징 레이더 개발 기업 )

 

 4D 이미징 레이더를 전문적으로 개발, 제조하는 테크 기업이다.사는 레이더 제품 및 전용 공정 설계만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제품 생산은 전문 업체에 100% 외주를 주고 있다

 

[섹터] 드론 / 자율주행 (지금은 드론 비중이 높음)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이 CES 2025 전시한 4D 이미징 레이더 기술

 

 

□ 매출 구성

 

기술분야에 따라 모빌리티와 비모빌리티로 나누어지는데 모빌리티가 약 80.5%의 매출비중을 차지하는데, 특수장비차 43.4% / 드론 30.2%/ 자율주행 7.9%로 구성된다. 아직은 자율주행의 매출 비중이 작은데, 완성차 업체들이 자율주행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다보니 매출 발생이 적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 주요 제품 및 고객

 

현재 드론과 특장차에 4D 이미징 레이더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고, 차량용은 개발을 완료하여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1. 미국향 드론용 수주 레퍼런스 확보

우-러 전쟁, 머스크 F-35 비판 발언으로 요즘 가장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무인 드론에 동사의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유해 드론 침입시 방어용 드론(안티 드론)에 장착되어 유해 드론을 추적, 격추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주요 고객으로는 미국의 안두릴이 있다. 또한,'24년에는 미국 아마존으로부터 배송용 드론 레이더 개발을 수주하였다.

 

2. 특장차용 수주 레퍼런스 확보

건설중장비 등 특수차량*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동사의 레이더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 중 '21년부터 미국의 쓰레기수거차 시장에 제품을 지속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 건설장비회사에게 제품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 대형 쓰레기수거차, 트럭, 포크레인, 휠로더, 농기계 등

 

3. 자율주행차량 및 ADAS용 레이더

 

동사는 Level.3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과 코너 레이다 및 ADAS용으로 평가받는 고성능 이미징 레이다(REINA-4FN)를 개발하여 GM/현대모비스 자율주행차에 상용화 단계에 있다. 또한 Level.4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징 레이다(REINA-6FN)을 개발 중에 있다.

 

※ 주요 제품

 

 

□ 투자 Point

 

  1. 안두릴/아마존 수주 레퍼런스 기반, 8,500억 달러 미 방산시장 진입 가능성 高

 

 

2. CES 2025, 모빌아이/엔비디아/웨이모의 4D 이미징 레이더의 중요성 언급

→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의 4D 이미징 레이더의 시장 진입 가능성 高

 

1) 모빌아이4D 이미징 레이더와 카메라 조합으로 값 비싼 라이다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고, '23년 CES에서 이스라엘의 발렌스모빌아이(프로세서와 카메라)-스마트레이더시스템(4D 이미징 레이더)-이노비 즈(라이다)를 묶은 자율주행 플랫폼을 전시한 바있다. 이런 점에서 동사는 모빌 아이와 협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2) 웨이모아이오닉5 자율주행차를 공개하며 4D 이미징 레이더 센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웨이모는 라이다 센서와 4D 이미징 레이더 센서를 모두 자체 개발하여 탑재하였는데, 특히 4D 이미징 레이더는 카메라와 라이다로 인식할 수 없는 안개 상황에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3) 엔비디아CES 기조연설에서 블랙웰 기반 하이페리온9 자율주행 플랫폼을 소개하였는데, 하이페리온9에는 12개의 카메라, 9개의 4D 이미징 레이더, 1개의 라이더가 탑재된다.

3. 자율주행 단계별 센서(레이더/카메라/라이더)의 필요성 증가

 

자율주행 기술은 통상 Level 3단계부터 자율주행차로 분류한다.

 

요즘 대부분의 차량은 크루즈 기능이 탑재된 Level 2단계가 많은데, 해당 단계에는카메라와 레이더가 필수로 설치되어 있고, 라이다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자율주행차인 Level 3단계부터는 기존 카메라와 레이더의 수가 50% 더 필요고, 라이더가 최소 1~2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Level 4단계부터는 2단계보다 카메라/레이더의 수가 100% 더 필요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추해보면 자율주행 차량이 실제 운행하게 되면 레이더의 판매는 지금보다 증가할 것이고, 4D 이미징 레이더의 기술은 더 부각될 수 있다고 본다.

 

4. 4D 이미징레이더, 카메라, 라이다 등을 통합하는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의 플랫폼의 글로벌 진출 기대

 

동사는 레이더의 단순 공급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에 필요한 카메라/레이다/라이다를 통합 할 수 있는 플랫폼을 통해 자율주행 뿐만 아니라, 방산(드론), 특장차(건설기계/농기계), 로봇, 비모빌리티(스쿨버스, 헬스케어 등) 시장에 본격 진출할 예정이다.

 

 

4D 이미징 레이더는 향후 자율주행, 로봇, 드론 등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섹터에서 중요한 역할과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완성차들이 Level 3 이상의 차량 생산 준비가 되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자율주행 관련주들은 지금 실적보다 트럼프/머스크 테마로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Alert] 하반꿀의 종목 분석은 전문투자자가 아닌 직장인인 주린이의 Study Note로 단순히 참조만 해주세요.
하반꿀 드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