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매수-매도

[단기 매매] 제주반도체 - 저전력반도체(LPDDR)

하얗게불태웠다 2025. 3. 17. 00:00
반응형

 

nVDIA GTC 2025

내가 숨겨진 주인공


최근 반도체 가격이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고, 엔비디아 GTC 2025 행사를 계기로 반도체 섹터가 한번 상승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반도체 2종목을 매수하였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제주반도체' 매수 이유를 포스팅하고자 한다.

 

※ 제주반도체 매수 이유 (엔비디아 GTC 2025)

https://white-burn.tistory.com/29

 

[3월 3주차]주요 증시일정

누가 주인공이 될 상인가?반도체 VS 바이오  3월 3주차 증시는 반도체, 바이오 중 누가 대장이 될 지 궁금한 한 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반도체 주목  - 엔비디아 GTC 2025(~3/21)와 마이크론 실적

white-burn.tistory.com

 

제주반도체 (IoT 및 엣지 디바이스용 저전력 메모리 반도체 기업)

 

모바일 메모리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회사

- SRAM, CRAM과 LPDDR SDRAM 등 모바일용 메모리를 설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이며, 사물인터넷(IoT), 웨어러블 및 자율주행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낸드 MCP 제품 개발 기업

 

 

□ 매수 Point

 

1. 국내 유일한 저전력 메모리 반도체(LPDDR) 팹리스 회사

- 현재 LPDDR4, LPDRAM 등 저전력 반도체 매출이 찍히고 있고, 차세대 저전력 반도체인 LPDDR5도 개발 중에 있는 회사로 '저전력 반도체'가 부각되면 동사의 주가가 움직일 것으로 판단

출처 : 제주반도체 전자공시

 

 

2. 미국 퀄컴, 대만 미디어텍으로부터 LPDDR 반도체 인증받은 회사

 

3. 엔비디아 SOCAMM의 중심 LPDDR5X

 

엔비디아는 CES 2025에서 개인용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 '디지츠(Digits)'를 공개하면서, 자체 메모리 표준인 SOCAMM을 탑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버용은 HBM, 엣지용은 SOCAMM으로 가는 투 트랙 전략을 밝히면서 제2의 HBM으로 SOCAMM이 떠오르고 있다.

 

"SOCAMM에 돈이 굴러가는 소리가 들린다~~"

 

 

SOCAMM은 DDR4나 DDR5 대신에 저전력인 LPDDR5X를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DRAM의 사용에도 전력의 효율성이 좋고, DRAM과 전자기기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의 출입구가 훨씬 많기 때문에 AI 시대의 문제점인 데이터의 병목현상을 해결해줄 수 있다.

 

GTC2025에서 AI나 SOCAMM 관련 이슈가 생기면 '제주반도체'의 주가가 상승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 매수하였다.

 

4. NAND 가격 인상에 따른 실적 상승 기대감

 

제주반도체 매출의 61%는 NAND 반도체로, NAND 가격이 곧 동사의 실적과 연계된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제주반도체 전자공시

최근 미국 낸드 업체인 샌디스크가 4/1일부터 모든 낸드 제품 가격을 10% 이상 인상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이후, 미국 마이크론, 중국 YMTC(양쯔메모리)도 가격 인상에 동참을 선언했다. 곧 삼성전자/하이닉스도 가격 인상에 동참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곧 동사의 실적 증가로 이어 지지 않을까 한다.

 

□ 매수 결과 및 전략

 

1.매수 가격 : 15,230원

2. 목표가 : 18,300원 (직전 고점 상단)

3. 손절가 : 12,700원 (대량거래와 함께 상승 출발 시작했던 일봉 종가)

4. 추가 매수 : 14,290원 (2번째 상승 출발했던 일봉 시가, 단기 쌍바닥 형성)

 

금주는 반도체 상승을 기대해보며...

LPDDR(저전력반도체)하면 제주반도체 기억해주세요.~~

[Alert] 하반꿀의 투자일기는 전문투자자가 아닌 직장인인 주린이의 투자경험을 담은 일기로 절대 따라 하시면 안되요
하반꿀 드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