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DLBCL 신규 환자는 '22년 기준 년 5%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중 약 30%가 재발성/불응성 상태로 진행되어 CAR-T 치료제 대상 환자는 '22년 기준 약 900명으로 추산된다.
현재 국내에 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CAR-T 세포치료제는 노바티스의 킴리아(약 3.6억원 예상) 뿐이며, 킴리아는 '23년 약 130건, 약 468억원 매출을 올린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환자 증가 추세 및 경쟁사보다 치료 효과가 좋은 안발셀은 최소 킴리아의 대체 치료제로서 킴리아 만큼의 매출을 올릴 수 있지 않을까한다.
※ 큐로셀의 안발셀 매출 전망
2) 해외시장 : 기술 이전을 통한 해외 시장 진출
글로벌 DLBCL 신규 환자 발생은 년 1.2%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재 킴리아, 예스카르타, 브레얀지, 테카투스 4개사가 경쟁 중이며, 그 중 매출 1위인 예스카르타의 '23년 매출은 $1.5b로 추산되고 있다.
동사는 경쟁사 대비 우월한 치료 효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기술 이전을 추진 하고 있고, 이를 통해 CAR-T 치료제의 CDMO 사업까지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 국내/글로벌 DLBCL 신규 환자 발생 수
※ FDA 승인된 7건의 CAR-T 치료제 중 DLBCL 관련 4개사 매출 현황
5. '25.2.21 첨생법 개정안 시행
무엇보다도 2월부터 실시되는 첨생법 개정안이 가장 큰 매수 Point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기존에는 임상연구 대상자에 한해서 첨단재생의료 치료를 허용하였으나, 2/21부터는 대체치료제가 없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질환, 희귀질환, 그 밖에 난치질환 등을 가진 사람까지 치료가 법 적으로 허용이 된다.
이는 세포치료의 기술 발전 뿐만 아니라 매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한다.
6. 다수의 매매 경험 상, 시장의 돌발 변수를 제외하고는 3만원 이하 가격은 안전한 매수 가격이었다. 그리고 최근 거래량을 동반 하여 직전 박스 상단을 뚫었던 시초 가격 27,700원을 지키는 모습을 보고 매수하기로 마음 먹었다.
□ 매수 결과 및 전략
1. 2월부터는 그 동안 상승하였던 반도체가 조정을 받고 첨생법 이슈로 바이오가상승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1/24 명절 전 종가 부근에서 1차 매수 完 : 29,000
2. 2차 매수는 27,700원 부근 지지를 확인한 후 매수 예정
2. 매도 전략
1차 목표가 (직전 대량 거래 종가)
35,000원
2차 목표가 (직직전 대량 거래 시가)
40,250원
손절가 (최근 박스권 상단 뚫은 시초가 이탈 시)
27,500원
2월 첨생법 가즈아~ 바이오 가즈아~
[Alert] 하반꿀의 투자일기는 전문투자자가 아닌 직장인인 주린이의 투자경험을 담은 일기로 절대 따라 하시면 안되요